제1차 고이즈미 내각 (제2차 개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고이즈미 내각 (제2차 개조)는 2005년 9월 21일에 발족한 일본의 내각으로, 고이즈미 준이치로가 총리대신을 맡았다.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보인 아베 신조를 자민당 간사장으로 임명하는 등,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의식한 인선으로 "젊은 인물", "인기"를 중시하는 내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세습 정치인과 매파 의원들이 중심이 되어 "2세 내각", "고이즈미 호크스" 등으로 조롱받기도 했다. 주요 각료로는 아소 다로, 가와구치 요리코, 다케나카 헤이조 등이 유임되었으며, 이시하라 노부테루가 국토교통대신으로 임명되었다. 고이즈미 내각은 개혁을 중시했으나, 세습 정치와 파벌 정치 논란, 각료들의 역사 인식 문제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일본 - 제2차 고이즈미 내각
제2차 고이즈미 내각은 2003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구성되었으며, 이라크 자위대 파병 결정과 연금 개혁 추진, 후쿠다 야스오 관방장관 사임, 우정 민영화 법안 부결 등의 사건이 있었고, 자유민주당을 중심으로 구조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사회적 논란과 비판도 있었다. - 2003년 일본 - 제1차 고이즈미 내각 (제1차 개조)
제1차 고이즈미 내각 (제1차 개조)은 2002년 9월 30일 개조되었으며, 고이즈미 준이치로가 내각총리대신을 맡아 가타야마 도라노스케, 가와구치 요리코, 시오카와 마사주로 등을 유임하고 스즈키 준이치, 이시바 시게루, 호소다 히로유키 등을 초입각했다.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제2차 고이즈미 내각
제2차 고이즈미 내각은 2003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구성되었으며, 이라크 자위대 파병 결정과 연금 개혁 추진, 후쿠다 야스오 관방장관 사임, 우정 민영화 법안 부결 등의 사건이 있었고, 자유민주당을 중심으로 구조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사회적 논란과 비판도 있었다.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제3차 고이즈미 내각
제3차 고이즈미 내각은 2005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구성된 자민당-공명당 연립 정부 내각으로, 차기 총리 후보들을 포함한 새로운 각료들이 임명되었으며, 행정 및 의료 개혁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교육, 헌법, 형법 개혁은 이루지 못했다. - 내각 - 제2차 고이즈미 내각
제2차 고이즈미 내각은 2003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구성되었으며, 이라크 자위대 파병 결정과 연금 개혁 추진, 후쿠다 야스오 관방장관 사임, 우정 민영화 법안 부결 등의 사건이 있었고, 자유민주당을 중심으로 구조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사회적 논란과 비판도 있었다. - 내각 - 제3차 고이즈미 내각
제3차 고이즈미 내각은 2005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구성된 자민당-공명당 연립 정부 내각으로, 차기 총리 후보들을 포함한 새로운 각료들이 임명되었으며, 행정 및 의료 개혁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교육, 헌법, 형법 개혁은 이루지 못했다.
제1차 고이즈미 내각 (제2차 개조) | |
---|---|
제1차 고이즈미 제2차 개조내각 | |
내각 이름 | 제1차 고이즈미 제2차 개조내각 |
대수 | 87 |
수상 이름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성립 연도 | 2003년 |
성립 월일 | 9월 22일 |
종료 연도 | 2003년 |
종료 월일 | 11월 19일 |
여당 | 자유민주당 공명당 보수신당 |
선거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해산 | 2003년 10월 10일 매니페스토 해산, 구조개혁 해산 |
명단 | 내각 명단 |
![]() | |
기타 |
2. 내각 구성 배경 및 특징
고이즈미 총리는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 대응에서 국민적 인기를 얻었던 아베 신조를 자민당 간사장에 임명하는 등, 중의원 해산 총선거를 의식한 '젊은 인물', '인기'를 중시하는 내각을 구성하였다. '관료의 말만 듣는다', '개혁을 방해한다'는 비난을 받았던 오기 지카게 대신 행정개혁 담당 대신이었던 이시하라 노부테루를 국토교통대신에 임명하여 '개혁 중시' 기조를 강조했다. 내각 개조 전 쟁점이 되었던 다케나카 헤이조, 가와구치 요리코 두 민간인 각료는 유임되었다.
2. 1. 세습 정치 및 파벌 정치 논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한 납치 사건에서 강경한 발언으로 일본 국민의 주목을 받았던 아베 신조를 자민당 간사장으로 임명하는 등, 선거를 의식한 내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젊은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끌어들이고자 했으나, 대부분 세습 의원이거나 강경파 의원이 중심이 되었으므로, ‘2세 내각’ 또는 ‘고이즈미 호크스(매파)’ 등의 지적도 받았다.3. 주요 각료 명단

자유민주당
(고노 그룹)
자유민주당
(모리파)

자유민주당
(코자토파)
자유민주당
(에토·카메이파)
공명당
자유민주당
(야마자키파)

자유민주당
(에토·카메이파)
자유민주당
(무파벌)
관광립국 담당
자유민주당
(모리파)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남녀공동참가)
자유민주당
(모리파)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청소년육성 및 저출산대책
식품안전)

자유민주당
(에토·카메이파)
자유민주당
(하시모토파)
(오키나와 및 북방대책
개인정보보호
과학기술정책)
자유민주당
(하시모토파)
(금융
경제재정정책)
(규제개혁
산업재생기구)
자유민주당
(호리우치파)
구조개혁특구·지역재생 담당
(방재)
보수신당